조기정신증 Early Psychosis
- 조현병을 비롯한 정신병적장애는 청소년 및 청년기에 발현하여 삶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부담이 크고 손상이 큰 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-
이러한 정신병적 장애는 뚜렷한 정신 증상이 나오기 전 약 2년 또는 5년 동안 전구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가 있는데 이를 조기 정신증이라고 하며 이 기간 동안 적절한 치료와 교육을 받게 된다면 병의 회복을 돕고 만성적인 결과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.
-
청소년 및 청년기는 학업, 진로, 대인관계 등 인간발달에 있어 특히 중요한 시간입니다. 이 시기에 병이 발병하는 것을 막아 사회적으로 건강한 구성원의 역할을 하기 위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원인
생물학적 원인
- 뇌의 도파민 등의 신경정달물질의 문제가 알려져 있습니다. 청년층(남자 약 16-25세, 여자 약 16-35세)은 이와 같은 생물학적 요인으로 정신증의 증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환경적인 원인
- 스트레스의 경험, 약물과 알코올 남용, 취약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환경적 자극 및 변화 등이 있습니다. 조기정신증은 생물학적인 취약성의 요인과 환경적인 위험인자의 상호작용(biopsychosocial model)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.
증상
- 1주의 집중이 안 되고 멍하거나 혼란스러워진다.
- 2주변의 일들이 나와 관련된 느낌이 든다.
- 3사소한 말들을 넘길 수가 없고 주변 소음, 소리에 민감해진다.
- 4다른 사람의 말이 메아리처럼 들린다.
- 5학업이나 일에 대한 흥미가 감소되었다.
- 6철학이나 종교에 대해서 지나치게 몰두되어 있다.
조기정신증 경과
발병과정에서 회복과정까지 3단계로 나뉩니다.
1단계 전구기
적절한 처치로 조현병으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- 사회적 생활의 위축
- 대인관계 기피
- 직장이나 학교생활의 부적응
- 의욕저하, 우울감, 불안
- 강박적 사고, 소음에 민감
2단계 급성기
약물치료를 최대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때로는 입원치료가 필요합니다.
- 의심과 예민함이 양상적 수준으로 심해지고 낯선 소리가 환청으로 발전하는 등 병적인 수준의 정신증적 증상이 분명히 나타나는 시기입니다.
3단계 회복기
- 조기정신증 대부분은 치료가 되며 회복하게 됩니다.
- 회복 양상은 사람마다 다르지만, 조기치료와 유지치료가 좋은 예후 인자입니다
치료
- 1 조기정신증의 발견 및 치료는 아주 중요합니다. 조기정신증을 단정 지어 조현병이나 조울증과 결부시키기는 어려우며 진단을 빨리 내리는 것이 회복에 긍정적인 의미를 갖지는 않습니다. 나타나는 증상들에 집중하여 이를 대처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
